로그인 회원가입
Translation

목회자료실

교회역사 이야기

[한국선교사 열전] 46- Josephine E. Campbell (강모인 姜慕仁) 선교사


Josephine E. Campbell(강모인 姜慕仁) 선교사 1897년 입국


버리며 살기... :: 'Mission Possible/한국선교역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

조세핀 P. 캠벨(Campbell, Josephine Eaton Peel, 姜慕仁, 1853-1920) 선교사는 1853년 4월 1일 미국 텍사스에서

출생하여, 21세 되던 1874년 조셉 캠벨(Joseph Campbell)목사와 결혼하여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1880년

남편 캠벨 목사와 사별하고, 자녀들도 수년 내 모두 잃었다. 이같은 불행을 격은 그녀는 인생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그녀는 신앙의 힘으로 자신의 고통과 절망을 극복하며 “일생을 다른 사람을 위하여 헌신하기로 결심하고” 시카고의 간호원

양성소에서 간호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해외 선교사로서 복음을 전하기로 작정했다. 그리하여 1886년 미국 남감리회

해외 선교사로 선임되어 중국의 상해 소주(蘇州) 등지에서 10여 년 간 봉직했다.


캠벨 선교사는 그 후 미국 ‘남감리회 해외여선교부(Wom￾an’s Board of Foreign Missi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에서 조선(한국)에 파송하는 최초의 선교사로 1897년 10월 9일 서울에 도착했다. 이때 그녀의

나이는 45세였으며 조선(한국)으로 오면서 중국인 양녀(養女) 여도라(Dora Yui)를 데리고 왔다. 여도라는 조선(한국)에서

간호사, 교사, 전도자 등으로 활동하면서 캠벨의 선교사업을 훌륭하게 조력했다.


조선(한국)에 도착한 캠벨 선교사는 윤치호의 마중을 받았으며 남대문 근처의 남송현(南松峴) 선교부에 정착했다. 이

지역은 리드(李德) 선교사 부부가 이미 훌륭하게 선교사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감리회의 상동병원과 북장로회의

제중원이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지역을 개척하고자 했다. 그녀는 1898년 8월 1일 ‘고가나무골’(지금의 내자동으로 주로

내시들이 살던 곳) 이항복의 집터로 선교지를 옮겨 본격적으로 여성 기숙학교(Boarding School)를 육성했다. 이것이

1898년 10월 2일 남감리회의 대표적 여학교 ‘배화학당’ 창설이다. 처음 이름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어린이 헌금이 일부

쓰여졌기 때문에 “캐롤라이나 학당(Carolina Institute)”이라 했다. 이때 교사는 2명이었고, 과목은 한글과 한문이었다.

학생은 6명으로 첫 학생은 선교사 사택 수위였던 박씨의 딸이었다. 다른 학생은 캠벨이 순회 전도하며 데려온 아이들이다.

초기 수업 때 캠벨 선교사는 영어로 밖에 말할 수 없어 손짓, 발짓, 무언극으로 표현했다. 이 같은 교육은 춤을 추듯한다하여

“발레 수업”이라 했다. 그 후 1903년 12월 ‘배화학당’이 되었으며 교육과정은 산술, 독본, 생리학, 지리, 역사 등으로

확대되었다. 배화(培花)란 “꽃을 기른다”는 뜻이며, 배화학당(培花學堂)이란 “여성을 아름답게 기르고, 꽃 피워내는 배움의

터전”을 의미했다.

그 후 배화학당은 1909년 배화여학교로 인가를 얻어 졸업생을 정기적으로 배출했다. 캠벨 선교사는 1898년부터 1912년

까지 초대 교장으로 봉직했다. 한편 그는 1900년 4월 15일 부활주일에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1901년 배화학당

안에 미국에서 루이스 워커(Luise Walker)가 보내준 돈으로 예배당을 건축하고, ‘루이스 워커 기념 예배당(Chapel)’이라

했다. 이곳에서 시작된 예배 모임이 오늘날의 종교교회와 자교교회의 모체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정춘수 전도사와 홍다비다 전도부인 중심의 신앙 공동체가 이전하여 종교(宗橋)교회가 되었다.

그리고 윤상은 전도인 중심의 루이스 워커 기념예배당 잔류 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자교(紫橋)교회로 발전했다고 한다.

캠벨 선교사는 여성 교육 사업과 병행하여 전도부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도부인 양성사업도 주력했다. 그의

생애와 신앙의 특징은

첫째,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확신을체험한 복음주의 신앙에 기초를 두었다.

둘째, 자신을 온전히 하나님께 맡기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하나님께 감사하고 “하나님 중심” 신앙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철저한 기도와, 큰 이상과 포부를 가지고 미래를 내다보며 실행했다.

넷째, 과거와 현재, 근대문명과 기독교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조선(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선교활동을 했다.

1918년 안식년으로 미국에 돌아갔다가 이듬해 되돌아오려고 준비 중 신병을 얻었다. 주위 친지들은 병이 회복된 뒤에

여행을 권유했으나 1919년 8월 무리하게 조선(한국)으로 돌아와 병세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로 인하여 1920년 11월 12일

별세했다. 장례식은 1920년 11월 15일 배화학당장으로 거행되었다.

양화진 제1묘역에 안장되었으며 비문에는 ‘내가 조선에서 헌신하였으니 죽어도 조선에서 죽는 것이 마땅하다’라

기록되었다.(참고자료: 배화백년사, 감리교 인물사전, 종교-자교교회사)

                                                                                                                                                                  『계속』

박흥배 목사
안디옥 세계선교협의회 회장
왈브릿지 열방교회 담임목사
revpark001@gmail.com

댓글목록

교회역사 이야기

NO 제목 글쓴이 날짜
53 [한국선교사 열전] 47- 1 Henry M. Bruen (헨리 브루언, 부해리 傅海利 선교사) ① Henry Park 09-05
52 [한국선교사 열전] 46- Josephine E. Campbell (강모인 姜慕仁) 선교사 Henry Park 08-29
51 [한국선교사 열전] 45-2 William Hunt (한위렴) 선교사 ② Henry Park 08-22
50 [한국선교사 열전] 45-1 William Hunt (한위렴) 선교사 ① Henry Park 08-13
49 [한국선교사 열전] 44-1 Alexander A. Pieters (알렉산더 피터스, 피득) 선교사 ② Henry Park 08-07
48 [한국선교사 열전] 44-1 Alexander A. Pieters (알렉산더 피터스, 피득) 선교사 ① Henry Park 08-01
47 [한국선교사 열전] 43- Linnie Davis (리니 데이비스 : 하위렴 선교사 부인) 선교사 Henry Park 07-25
46 [한국선교사 열전] 42-2 Eugene Bell (유진 벨, 배유지 裵裕祉) 선교사 ② Henry Park 07-18
45 [한국선교사 열전] 42-1 Eugene Bell (유진 벨, 배유지 裵裕祉) 선교사 ① Henry Park 07-11
44 [한국선교사 열전] 41 - Anna P. Jacobsen (애나 야곱센, 라각선 雅各善) 선교사 Henry Park 07-03
43 [한국선교사 열전] 40- 2 James E. Adams (제임스 아담스, 안의화) 선교사② Henry Park 06-27
42 [한국선교사 열전] Henry Park 06-27
41 [한국선교사 열전] 40-1 James E. Adams (제임스 아담스, 안의화) 선교사 ① Henry Park 06-20
40 [한국선교사 열전] 39 - Jesse W. Hirst (제시 헐스트, 허시태) 선교사 Henry Park 06-13
39 [한국선교사 열전] 28- Edward H. Miller (에드워드 밀러, 밀의두(密義斗) 선교사 Henry Park 06-12
38 [공지] [이상규교수 교회사] 6.25 전쟁의 기적: 기적으로 살아남은 대한민국 HesedKosin 06-10
TOP